긴급 상황에서는 가능한 한 빨리 119에 전화해야합니다. 위급한 경우 119(소방서)로 전화하시면 구급차가 도착합니다. 반면에 개인 구급차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원환자가 주말에 상급종합병원이나 다른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개인 구급차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급차 종류
구급차는 크게 119 구급차(소방)와 사설구급차(민간)가 있습니다. 사설구급차는 또 다시 일반구급차와 특수구급차로 나뉩니다.
- 119 구급차
- 사설구급차(일반) – 외관 녹색띠
- 사설구급차(특수) – 외관 빨간띠
구급차 비용
소방청에서 운영하는 119 구급차는 비용이 이동거리나 환자수에 관계없이 전액 무료입니다.
반면, 민간에서 운영하는 사설 구급차는 일반/특수에 따라 기본요금이 다르고 이용금액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사설구급차 비용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사설구급차를 이용할 경우 이송처치료 외에 구급차내에 장비사용료, 처치비용, 의약품 사용료, 고속도로 통행료, 보호자 탑승료 등은 별도의 비용이 없습니다. 혹시 터무니 없는 금액을 요구한다면 이동거리 등 비용책정 근거를 요청하시면 됩니다.
사설 일반구급차 vs 특수구급차 차이
사설 일반구급차는 2면 이상에 ‘환자이송’ 또는 ‘환자후송’이 표시되어 있고 녹색띠가 둘러져 있습니다 . 특수구급차는 차량 2면 이상에 ‘응급출동’이 표시되어 있고 빨간띠가 둘러져 있습니다. 특수구급차는 일반구급차에 비해 특수의료장비 등이 더 구비되어 있습니다.
구급차 비용 납부방법
실제로 제가 사설구급차(일반)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주간기준으로 약 70km를 운행했을 때 비용은 약 17만원이 청구가 되었습니다. 현금으로 지불해도 되고,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또한 카드체크기(이동식)도 구급차내에 있어서 카드결제도 가능했습니다.
사설구급차 부르는 법
119 구급차는 국번없이 119로 연락하면 가까운 소방서로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꼭 응급시에만 연락하시길 바랍니다.
사설구급차는 지역별로 콜센터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서 지역별 검색이 필요합니다.